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유산균 시장은 2013년 804억원, 지난해 1579억원으로 5년 사이 289% 이상 성장했다. 올해 유산균 시장 규모는 2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유산균 식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며, 식품업계에서는 전문 연구팀과 손잡고 신제품을 개발하여 제품을 차별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신제품의 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등재하거나 국제학회에서 제품 효능을 발표하는 등 해외에서 제품을 검증 받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바이러스•암세포 천적 NK세포에 주목한 기능성 발효유, 푸르밀 ‘N-1(엔원)’
유제품 전문기업 푸르밀은 최근 연세대학교 이종호 교수가 발표한 기능성 발효유 ‘N-1(이하 엔원)’의 연구논문 ‘'비피더스균, 카제이유산균 그리고 열처리 유산균(김치유래) 함유된 발효유의 NK세포 활성을 포함한 면역 기능 증진(개선) 효과’가 해외 저명 학술지 뉴트리언츠 6월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NK세포(자연살해세포)는 체내 면역세포 중 하나로 바이러스나 암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푸르밀에 따르면 연구팀은 엔원의 효과 검증을 위해 60세 이상의 일반인 20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엔원과 일반 우유를 12주 동안 마시게 한 후에 NK세포 활성도와 면역기능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엔원을 마신 그룹은 우유를 마신 집단과 비교하여 외부 바이러스를 공격하여 없애는 NK세포 활성화 및 면역 물질 생성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푸르밀이 연세대 임상영양연구실 이종호교수 연구팀, 고려대 식품공학과 이광원교수 연구팀과 산학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엔원은 출시 후 소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관계자에 따르면 “NK세포는 각종 바이러스 예방은 물론 항암 연구에도 활용될 정도로 의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고 말했다.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 가득 담은 CJ제일제당 ‘피부유산균 CJLP133’
CJ제일제당은 지난 20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2017 유럽알레르기학술대회에서 ‘김치유산균 CJLP133 섭취 시 아토피 피부염 어린이에 대한 임상효능’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CJ제일제당은 김치에서 추출한 ‘피부유산균 CJLP133’의 효능을 증명했다. 첫째는 피부유산균이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며, 둘째는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사람 중 식품, 집먼지진드기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증가된 사람에게 피부유산균이 더 큰 효과를 보인다는 점이다.
해당 제품은 일찍이 피부 가려움에 효과가 확인돼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식약처로부터 최초로 인정받았다.
◆장건강 생각한 프로바이오틱스 요거트, 매일유업 ‘매일바이오’
매일유업은 지난 4일 ‘제 9회 아시아 유산균 학회’에서 김재한 교수가 ‘프로바이오틱 L-GG 유산균의 효능’에 대해 발표했다고 밝혔다. 매일유업은 학회에서 L-GG 유산균으로 제조한 ‘매일 바이오’ 브랜드 홍보 활동도 진행했다.
L-GG 유산균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된 프로바이오틱스로 장 건강은 물론 대장염증성질환과 호흡기감염, 피부염 및 로타바이러스감염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열 등의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해 요거트 제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매일유업이 발효유 제조용으로 L-GG 유산균을 독점 공급받아 요거트 제품에 활용하고 있다.
◆롯데푸드 파스퇴르 ‘LB-9 요구르트’
롯데중앙연구소는 지난 4일 롯데푸드, 롯데제과와 함께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 9회 아시아 유산균 학회’에서 김치유산균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단독 세션을 개최했다.
‘새로운 식물성 유산균의 분리 및 롯데 제품에의 적용’ 등의 주제로 진행된 발표에서는 롯데푸드 파스퇴르 ‘LB-9’ 등 유산균을 활용한 다양한 롯데 제품의 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LB-9’에 함유된 김치 유래 유산균 2종은 최근 장내 도달률, 항콜레스테롤 기능이 우수하다고 인정 받아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특히 채식을 많이 하여 장이 긴 한국인의 체질에 잘 맞는다고 알려져 있다.
2018-01-09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유산균 시장은 2013년 804억원, 지난해 1579억원으로 5년 사이 289% 이상 성장했다. 올해 유산균 시장 규모는 2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유산균 식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며, 식품업계에서는 전문 연구팀과 손잡고 신제품을 개발하여 제품을 차별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신제품의 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등재하거나 국제학회에서 제품 효능을 발표하는 등 해외에서 제품을 검증 받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
◆바이러스•암세포 천적 NK세포에 주목한 기능성 발효유, 푸르밀 ‘N-1(엔원)’
유제품 전문기업 푸르밀은 최근 연세대학교 이종호 교수가 발표한 기능성 발효유 ‘N-1(이하 엔원)’의 연구논문 ‘'비피더스균, 카제이유산균 그리고 열처리 유산균(김치유래) 함유된 발효유의 NK세포 활성을 포함한 면역 기능 증진(개선) 효과’가 해외 저명 학술지 뉴트리언츠 6월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NK세포(자연살해세포)는 체내 면역세포 중 하나로 바이러스나 암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푸르밀에 따르면 연구팀은 엔원의 효과 검증을 위해 60세 이상의 일반인 20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엔원과 일반 우유를 12주 동안 마시게 한 후에 NK세포 활성도와 면역기능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엔원을 마신 그룹은 우유를 마신 집단과 비교하여 외부 바이러스를 공격하여 없애는 NK세포 활성화 및 면역 물질 생성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푸르밀이 연세대 임상영양연구실 이종호교수 연구팀, 고려대 식품공학과 이광원교수 연구팀과 산학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엔원은 출시 후 소비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다.
관계자에 따르면 “NK세포는 각종 바이러스 예방은 물론 항암 연구에도 활용될 정도로 의학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고 말했다.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 가득 담은 CJ제일제당 ‘피부유산균 CJLP133’
CJ제일제당은 지난 20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2017 유럽알레르기학술대회에서 ‘김치유산균 CJLP133 섭취 시 아토피 피부염 어린이에 대한 임상효능’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CJ제일제당은 김치에서 추출한 ‘피부유산균 CJLP133’의 효능을 증명했다. 첫째는 피부유산균이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며, 둘째는 아토피피부염이 있는 사람 중 식품, 집먼지진드기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증가된 사람에게 피부유산균이 더 큰 효과를 보인다는 점이다.
해당 제품은 일찍이 피부 가려움에 효과가 확인돼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를 식약처로부터 최초로 인정받았다.
◆장건강 생각한 프로바이오틱스 요거트, 매일유업 ‘매일바이오’
매일유업은 지난 4일 ‘제 9회 아시아 유산균 학회’에서 김재한 교수가 ‘프로바이오틱 L-GG 유산균의 효능’에 대해 발표했다고 밝혔다. 매일유업은 학회에서 L-GG 유산균으로 제조한 ‘매일 바이오’ 브랜드 홍보 활동도 진행했다.
L-GG 유산균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된 프로바이오틱스로 장 건강은 물론 대장염증성질환과 호흡기감염, 피부염 및 로타바이러스감염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열 등의 외부 환경에 민감한 유산균 안정성이 우수해 요거트 제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매일유업이 발효유 제조용으로 L-GG 유산균을 독점 공급받아 요거트 제품에 활용하고 있다.
◆롯데푸드 파스퇴르 ‘LB-9 요구르트’
롯데중앙연구소는 지난 4일 롯데푸드, 롯데제과와 함께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 9회 아시아 유산균 학회’에서 김치유산균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단독 세션을 개최했다.
‘새로운 식물성 유산균의 분리 및 롯데 제품에의 적용’ 등의 주제로 진행된 발표에서는 롯데푸드 파스퇴르 ‘LB-9’ 등 유산균을 활용한 다양한 롯데 제품의 효과에 대해 설명했다. ‘LB-9’에 함유된 김치 유래 유산균 2종은 최근 장내 도달률, 항콜레스테롤 기능이 우수하다고 인정 받아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특히 채식을 많이 하여 장이 긴 한국인의 체질에 잘 맞는다고 알려져 있다.
2018-01-09